2007년 3월 1일 목요일

OpenArena - Quake 3 엔진을 사용한 무료 FPS 게임



OpenArenaQuake 3 엔진을 사용하여 map, player model, weapon 등을 재구성한 오픈 소스 FPS(First Person Shooter) 게임입니다. GPL로 공개된 Quake 3 엔진 소스만 사용하였을 뿐 다른 모든 데이터는 OpenArena 팀에서 직접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Quake 3 MOD들과 달리 Quake 3 Arena 원본이 전혀 필요하지 않습니다.



게임 방식은 Quake 3 Arena와 거의 동일합니다. 비록 아직 map과 player model의 수가 좀 적기는 하지만, 무료로 Quake 3 수준의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은 상당한 매력입니다. LAN이나 Internet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bot들과 대전할 수 있는 싱글플레이 모드도 지원합니다.



처음 Quake 3 Arena가 출시되었을 당시에도 그다지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은 아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상당한 시간이 지난 지금은 보통의 PC 사양이 이 게임을 전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수준이 되고도 남겠죠. 그렇다고는 해도 워낙에나 잘 만들어진 엔진이다 보니 속된 말로 그래픽이 구리다거나 하는 느낌은 별로 없습니다.(물론 Doom 3, Quake 4 같은 차세대 엔진을 사용한 게임과 비교하기엔 무리가 있겠지만...)



오래 전 Quake 3 Arena의 추억이 아련하게 떠오른다면 이 게임을 한번 해보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이 게임은 Windows, Linux, Mac OS X를 지원합니다. 다운로드 크기는 이 글을 쓰는 현재 가장 최신인 0.6.0 버전의 Windows 용 설치 파일을 기준으로 70 MB 조금 넘는 것 같네요.

공식 홈페이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LINK: http://openarena.ws

끝으로, 이 글에 삽입된 스크린샷은 OpenArena 공식 홈페이지로부터 가져온 것입니다.

Google Docs와 Firefox NoScript 확장기능 버그(?)

---- 2007.03.02 ----

오늘 NoScript 확장기능의 업데이트(1.1.4.6)가 뜨는 걸 보고 설치했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Google Docs 페이지의 Javascript가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NoScript의 버그였던가 봅니다. 애꿎은 Google Docs를 용의선상에 올려 놓아서 좀 미안한 감이 있네요. 이래서 과학 수사가 필요한 모양입니다. :P


---- 원문 ----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언제부터인가 제가 사용하는 Firefox 2에서 Google Docs & Spreadsheets(이하 Google Docs)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현상이 계속 되었습니다. 마치 Javascript가 지원되지 않을 때 생기는 문제인 것처럼 보였는데, Internet Explorer 7에서는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고, Gmail 같은 다른 Google 사이트는 Firefox에서도 문제없이 잘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Google Docs 사이트의 Javascript 호환성 문제가 아닐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Google에서 빠른 시간 안에 수정해주겠지 라고 속편하게 기다리면서 말이죠.

그런데, 한 달 이상이 지나도 Firefox에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는 여전한 것이었습니다. 결국 뭔가 다른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닐까 해서 인터넷을 뒤지고 다녔습니다. 뾰족한 답변을 얻지는 못했지만, 이 때문에 오히려 Javascript 호환성 문제가 아니라는 것은 확인된 셈이었습니다.(그런 문제가 있었으면 진작에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이슈화 되었을 테니까 말이죠.)

이 때 제 눈에 들어온 것이 바로 Firefox 상태표시줄 한 자리를 꿰차고 있는 NoScript 확장기능(extension) 아이콘이었습니다. NoScript는 웹사이트에서 Javascript나 Flash, Java Applet 등과 같은 동적 컨텐츠들의 실행을 차단해주는 매우 고맙고 유용한 Firefox 확장기능입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사이트의 동적 컨텐츠를 차단하면서 도메인 단위로 차단을 해제해주는 '신뢰 사이트' 기능이 있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여간, Google의 모든 사이트에 대해서는 항상 차단을 해제해둔 상태라 별로 의심을 하지 않고 있었는데, '혹시 이 확장기능에 버그가 있다면?' 이란 생각이 퍼뜩 들어서 NoScript 확장기능을 제거해보았습니다.

아니 이럴 수가!!

지금까지 제대로 동작하지 않던 Google Docs 사이트가 매우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

지금까지 이 확장기능 덕분에 각종 위험한(?) 사이트를 무사히 잘 돌아다닐 수 있었던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데, 오늘 Google Docs 사건의 전모가 밝혀지게 되면서 일종의 배신감 같은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믿었던 NoScript가 왜 제 명령을 무시하고 Google Docs 사이트의 Javascript를 차단해버린 것일까요? 혹시 Google Docs 사이트가 일반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다른 도메인에서 Javascript 같은 것을 가져오려고 시도하다가 NoScript에게 딱 걸려서 차단 당한 것일 지도 모릅니다.

아주 오래 전에는 NoScript 확장기능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Google Docs 사이트를 아무런 문제 없이 잘 이용할 수 있었다는 점과 얼마 전 Google Apps에 Google Docs가 추가되고 한국어 등 더 많은 다국어 인터페이스까지 지원하게 되면서 Google Docs 코드 수정이 불가피했다는 점 등이 그러한 의혹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분석이 좀 필요한 부분이란 생각이 듭니다만 워낙에나 귀찮은 일을 싫어하는 성격이라서.. ;-)

시간나면 한번 추적해봐야겠군요. 운이 좋으면 Google Docs 사이트의 비리(?)를 파헤침과 동시에 NoScript의 억울한 누명(?)을 벗겨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혹은 NoScript의 혐의를 확정할 수 있게 될지도... :-/